SEONGSAN BIOETHICS RESEARCH INSTITUTE

생명윤리 소식

16세 장기 기증자와 윤리

작성자
성산생명윤리연구소
작성일
2019-04-30 16:05
조회
1729
https://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190415030005&wlog_tag3=naver&fbclid=IwAR28YxlubLvTX8znAbrMMHmixX0JbN39joaftZOB97hp6sADkUM7BJZRaK8





하대청 광주과학기술원 기초교육학부 교수

▲ 하대청 광주과학기술원 기초교육학부 교수




얼마 전 아는 의사로부터 전화가 왔다. 대학병원에서 장기이식을 오랫동안 해온 그는 내게 미성년 장기기증에 관한 연구 자료가 있는지 대뜸 물었다. 미성년자의 기증을 못 하게 막으려 하는데, 반대측 의사들이 미성년 장기기증자가 문제 있다는 객관적 자료를 내놓으라고 한다는 것이다. 대학에 오기 전 장기이식 관련 현장 연구를 했던 내게 도움을 요청한 것인데, 나도 자료가 없어 미성년 기증자를 만난 경험들을 들려주는 수밖에 없었다. 전화를 끊고 난 뒤 답답함과 무력감이 밀려왔다.

장기가 부족해 이식을 못 한다는 언론 보도가 종종 있지만, 한국은 세계에서 장기이식을 가장 많이 하는 국가 중 하나다. 신장이식은 세계 최고인 스페인보다는 적지만, 많은 편에 속하고, 간이식은 100만명당 약 28명으로 세계에서 가장 많다.

뇌사자의 장기기증률이 낮은데도 이렇게 이식을 많이 할 수 있는 이유는 살아 있는 이들이 많이 기증하기 때문이다. 국내 신장 이식의 2분의1, 간 이식의 3분의2 이상은 살아 있는 이들이 기증한 장기로 하고 있다. 자신의 장기를 기증하는 이들 대부분은 환자의 가족들이다. 신장은 배우자가, 간은 자녀가 가장 많다. 이들은 자신의 신장 하나를 떼거나 혹은 간의 75% 정도를 절개해 아픈 가족에게 기증한다.

살아 있는 이들이 자신의 장기를 기증하는 이 행위는 그 자체로 타인을 위한 희생이지만, 의료윤리적 관점에선 문제가 있다. 목적이 무엇이든 간에 의사가 건강하고 멀쩡한 한 사람을 의도적으로 위험에 빠뜨리는 것이기 때문이다. 이식 초기와 달리 지금은 의료기술이 발전해 위험이 많이 낮아졌고, 윤리적 우려도 잠잠해졌다. 하지만 그렇다고 기증자의 위험이 전혀 없는 것은 아니다. 기증자가 죽거나 수술 후 건강이 나빠지는 사례는 여전히 있다. 이식수술을 하는 많은 의사는 부인하지만, 일부 의사는 기증자가 수술 이전의 몸으로 완전히 회복될 수 없다는 점을 인정한다.

연구를 위해 내가 만난 기증자들은 대체로 건강했지만, 일부는 고통을 호소했다. 수술 후 나타난 원인 모를 통증 때문에, 소화 장애와 밀려오는 피로감 때문에, 수술 후 힘든 회복 과정을 홀로 겪어야 했던 기억 때문에, 이식받은 가족 일원이 고마움을 잊고 무심코 내뱉는 말들 때문에, 고통이 있어도 가족들에게 터놓고 말하기 어려운 상황 때문에 이들은 상처 입고 아파했다.

두 달이면 일상으로 복귀 가능하다는 의료진의 말과 달리 회복은 최소 1년여 걸렸고, 어떤 기증자는 아무리 노력해도 회복되지 않는 몸으로 살아가는 법을 터득하려 했다. 하지만 의료진은 기증자의 이 고통을 심리적인 것일 뿐이라고 답하고 있다.

상황이 이런데도 한국에선 세계에서 유일하게 미성년자까지 장기를 기증할 수 있다. ‘장기 등 이식에 관한 법률’은 만 16세부터 사촌 이내의 친족에게 자신의 장기를 기증하도록 허용하고 있다. 해마다 국내 간이식의 약 8%는 고등학생의 몸에서 장기를 얻고 있다. 경제적으로 의존적이고 삶의 경험이 부족한 미성년자는 강압과 유인에 취약해 보통 법의 보호를 받지만, 장기이식에선 그렇지 않다. 부모의 동의를 받도록 하는 보호 장치가 있지만, 이식받는 이가 부모이기 때문에 유명무실하다.

국가, 언론과 의료계는 부모에게 기증한 미성년자에게 아름다운 효행이라고 칭찬할 뿐 이들의 몸과 삶에는 관심이 없다. 성인들도 감내하기 어려운 기증 전후의 고통을 미성년의 몸과 마음으로 어떻게 겪어 내는지 추적 조사한 적도 없다. 효심이 있는지를 묻고 장기기증으로 증명하라고 말하기 바쁘다.

체계적으로 연구할 책임이 있는 의사들은 오히려 미성년자가 기증 후에 문제 있다는 연구 자료를 가져오라고 한다. 가족을 위해선 그 정도 희생하는 것이 도리 아니냐는 이들에겐 다음 사례를 들려주고 싶다.

고등학생 때 부모에게 기증한 한 기증자는 내게 부모에게 이 정도까지 했으니 이제는 이 가족을 홀가분하게 떠날 수 있겠다고 말했다. 그에게 그동안 가족은 도대체 어떤 의미였을까? 가족을 먼저 생각하라고 말하기 이전에 그에게 가족이 어떤 존재였을지 먼저 헤아려 주는 것이 진정한 도리가 아닐까.


전체 42
번호 썸네일 제목 작성자 작성일 추천 조회
42 세계 최초 피부세포로 인간 '초기 배아' 성공 2021.4.28
세계 최초 피부세포로 인간 '초기 배아' 성공 2021.4.28
세계 최초 피부세포로 인간 '초기 배아' 성공 2021.4.28
성산생명윤리연구소 | 2021.04.28 | 추천 0 | 조회 686
성산생명윤리연구소 2021.04.28 0 686
41
2021. 3. 30. 박테리아처럼 분열하고 자라는 인공 생명체 나왔다 - 조선일보
성산생명윤리연구소 | 2021.03.30 | 추천 0 | 조회 652
성산생명윤리연구소 2021.03.30 0 652
40 美 1백여 신앙인들, 민주당에 ‘낙태 반대’ 공개 서한
美 1백여 신앙인들, 민주당에 ‘낙태 반대’ 공개 서한
美 1백여 신앙인들, 민주당에 ‘낙태 반대’ 공개 서한
성산생명윤리연구소 | 2020.07.29 | 추천 3 | 조회 900
성산생명윤리연구소 2020.07.29 3 900
39 미 테네시, 강력 낙태 금지법 제정하자 연방법원 “허용 금지”
미 테네시, 강력 낙태 금지법 제정하자 연방법원 “허용 금지”
미 테네시, 강력 낙태 금지법 제정하자 연방법원 “허용 금지”
성산생명윤리연구소 | 2020.07.20 | 추천 0 | 조회 889
성산생명윤리연구소 2020.07.20 0 889
38 충돌하는 세계관 Understanding The Times ( 류현모교수님)
충돌하는 세계관 Understanding The Times ( 류현모교수님)
충돌하는 세계관 Understanding The Times ( 류현모교수님)
성산생명윤리연구소 | 2020.04.23 | 추천 0 | 조회 868
성산생명윤리연구소 2020.04.23 0 868
37 한국에서 볼수 있게 되었습니다
한국에서 볼수 있게 되었습니다
한국에서 볼수 있게 되었습니다
성산생명윤리연구소 | 2020.04.23 | 추천 1 | 조회 1183
성산생명윤리연구소 2020.04.23 1 1183
36 낙태는 지극히 작은 생명에 대한 가장 무자비한 폭력
낙태는 지극히 작은 생명에 대한 가장 무자비한 폭력
낙태는 지극히 작은 생명에 대한 가장 무자비한 폭력
성산생명윤리연구소 | 2020.01.22 | 추천 0 | 조회 1036
성산생명윤리연구소 2020.01.22 0 1036
35 가장 좋은 성교육 강사는 부모… 건강한 울타리 돼야
가장 좋은 성교육 강사는 부모… 건강한 울타리 돼야
가장 좋은 성교육 강사는 부모… 건강한 울타리 돼야
성산생명윤리연구소 | 2019.12.28 | 추천 0 | 조회 1009
성산생명윤리연구소 2019.12.28 0 1009
34 제24회 WITH YOU캠페인🔆 ●일시 : 2019년 12월 18일(수) 11시-13시
제24회 WITH YOU캠페인🔆 ●일시 : 2019년 12월 18일(수) 11시-13시
제24회 WITH YOU캠페인🔆 ●일시 : 2019년 12월 18일(수) 11시-13시
성산생명윤리연구소 | 2019.12.17 | 추천 0 | 조회 904
성산생명윤리연구소 2019.12.17 0 904
33 가톨릭생명윤리연구소 새 소장에 취임한 박은호 신부
가톨릭생명윤리연구소 새 소장에 취임한 박은호 신부
가톨릭생명윤리연구소 새 소장에 취임한 박은호 신부
성산생명윤리연구소 | 2019.09.17 | 추천 0 | 조회 1322
성산생명윤리연구소 2019.09.17 0 1322
SEONGSAN BIOETHICS RESEARCH INSTITUTE

Thank you for your support!

성산생명윤리연구소에 대한 여러분의 후원에 감사드립니다.
계속적으로 생명윤리 전문기관으로서의 책임을 다하며 이 사회에 생명사랑문화 정착에 힘쓸 것입니다.

(02)744-3402
서울시 종로구 연건동 28
ssbioethics@hanmail.net